적법한 월 급여 일할계산 방법 월급제 근로자가 중도입 · 퇴사, 결근 등으로 한 달을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의 월 급여 계산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법 규정이 없습니다. |
|
|
다만, 실무적으로는 '일할계산'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으며, 고용노동부는 아래 3가지 일할계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일관되게 적용하기만 하면 적법한 것으로 인정합니다. |
|
|
참고로 1~3 중 회사에 특히 불리하거나 유리한 방식은 없습니다😀 해당 월의 일수를 기준으로 동일하게 일할계산을 하더라도 월초, 월말 등 중도입사 시기에 따라 회사에 유리할 수도, 불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 |
|
|
다시 말해, 일할계산은 어떤 방식이 맞고 틀린 문제는 아닙니다. 1~3 중 어떤 방법을 활용하든, 회사가 정한 바에 따라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분쟁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계약서, 취업규칙 등에 일할계산 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 좋습니다🙆♂️ |
|
|
✔ 예시
월 급여가 2,500,000원인 근로자가 2023. 12. 12. 입사한 경우 12월 급여
= 2,500,000원 ÷ 30일 × 19일 = 1,583,333원
※ 19일 : 30일-근무하지 않은 11일 |
|
|
중도입퇴사 등으로 일할계산을 해야 하는 달의 일수가 28일이든, 31일이든 30일을 기준으로 월 급여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. 어느 달에 일할계산을 하든 매월 동일한 기준이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|
|
|
다만, 이어서 살펴볼 해당 월의 역일 수 기준 일할계산이 가장 일반적인 급여산정방법이므로, 30일 기준 일할계산을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근로계약서 등에 관련 규정을 정비해 두어야 합니다. |
|
|
✔ 예시
월 급여가 2,500,000원인 근로자가 2023. 12. 12. 입사한 경우 12월 급여
= 2,500,000원 ÷ 31일 × 20일 = 1,612,903원
※ 20일 : 31일-근무하지 않은 11일 |
|
|
매월 해당 월의 역일 수에 따라 일할계산 기준일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일할계산 방식입니다. |
|
|
각 월마다 역일 수가 달라지긴 하나, 월급제는 어떤 경우에도 같은 급여를 받는 것이므로 노동관계법령상 문제의 소지는 없습니다😀 |
|
|
월 급여÷월 소정근로시간×1일 소정근로시간×유급일수 |
|
|
✔ 예시
월 급여가 2,500,000원이고, 소정근로시간이 평일 9시~18시(휴게시간 1시간)인 근로자가 2023. 12. 12. 입사한 경우 12월 급여
- 12월 12일부터 31일까지의 실제 출근일수 : 13일(공휴일인 성탄절 제외)
- 위 기간 중 유급휴일 수 : 4일(17일, 24일, 25일, 31일)
- 12월 급여 = 2,500,000원/209시간×8시간×(13일+4일)=1,626,794원
|
|
|
소정근로시간 기준 일할계산은 정교해 보일 수 있으나, 노동관계법령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근로자에게 설명하기가 복잡하고, HR 업무를 처음 접하는 실무자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아닙니다. |
|
|
다만, 이 방법은 1번과 달리 근로계약서 등에 별도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|
|
|
급여 일할계산 관련 주의사항은 🚨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최저임금에 미달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. |
|
|
예컨대 ✔ 30일 기준 일할계산 방식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✔ 월 급여가 최저임금(2,010,580원)인 근로자가 ✔ 12월 11일부터 12월 18일까지 근무 후 퇴사했다면 회사가 지급해야 하는 최저임금은 538,720원입니다.
✅ 계산식 : 9,620원×8시간×7일(11일부터 18일까지의 기간 중 휴무일인 토요일을 제외한 일수) = 538,720원 |
|
|
반면, 30일 기준 일할계산을 적용한 값은 536,155원이므로 기존의 일할계산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 최저임금 위반의 문제가 발생합니다.
✅ 계산식 : 2,010,580원÷30일×8일(11일~18일 일 수) |
|
|
따라서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을 지급받는 근로자에 대해 일할계산을 하는 경우, 최저임금과 소정근로시간을 적용하여 계산한 임금보다 낮은 급여를 지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|
|
|
이상으로 급여 일할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기타 노동관계법령, HR 관련 문의사항은 노무법인 이안컨설팅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😎 |
|
|
노무법인 이안컨설팅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마치로288번길14, 1273호
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법조로25, A동 502호
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92, 212호
TEL 02-6929-3970~1, 3
|
|
|
|
|